', { cookie_domain: 'rachelchun.tistory.com', cookie_flags: 'max-age=0;domain=.tistory.com', cookie_expires: 7 * 24 * 60 * 60 // 7 days, in seconds }); 손품 팔아 최고 금리 찾기 끝! '온라인 예금 비교 플랫폼' 시대 활짝
 
HH

손품 팔아 최고 금리 찾기 끝! '온라인 예금 비교 플랫폼' 시대 활짝

반응형

 

자동차 보험료나 대출 금리를 온라인에서 비교해보는 것은 이제 익숙한 풍경이죠? 앞으로는 은행 예금 금리 역시 여러 금융회사의 상품을 한 곳에서 편리하게 비교하고 가입까지 할 수 있게 됩니다. 더 이상 최고 금리를 찾아 여러 은행 앱이나 웹사이트를 헤맬 필요가 없어진다는 희소식입니다!

 

금융위원회는 지난 2022년부터 혁신금융서비스로 시범 운영해왔던 '온라인 예금상품 중개 서비스'를 정식으로 도입한다고 16일 밝혔습니다. 이 서비스는 소비자가 원하는 조건(금액, 기간 등)을 입력하면 여러 금융회사의 예·적금 상품 중 가장 유리한 상품을 찾아 비교·추천해주고, 가입 절차까지 연계해주는 편리한 플랫폼입니다.

 

현재 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은 신한은행(쏠 SOL),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토스 등 우리에게 친숙한 금융 앱들입니다. 이 플랫폼들을 통해 시중은행뿐만 아니라 저축은행, 신협에서 판매하는 정기 예금 및 적금 상품의 금리와 조건을 손쉽게 비교해볼 수 있었습니다.


무엇이 달라지고, 더 좋아지나요?

이번 정식 도입과 함께 서비스 내용도 더욱 확대됩니다.

  • 상품 범위 확대: 기존의 정기 예·적금 외에도, 하루만 맡겨도 이자를 주는 파킹통장(수시입출금식 상품)까지 비교 대상에 포함됩니다. 단기간 자금을 운용하려는 분들에게 더욱 유용해질 전망입니다. (단, 예금자 보호가 되지 않는 CMA 등 일부 상품은 제외됩니다.)
  • 참여 금융기관 확대 가능성: 향후 법 개정 등을 통해 현재 대상인 은행, 저축은행, 신협 외에 다른 상호금융권(새마을금고 등) 상품까지 포함될 가능성이 열렸습니다. 선택의 폭이 더욱 넓어질 수 있습니다.
  • 온·오프라인 연계 강화: 온라인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분들을 위한 배려도 강화됩니다. 올해 7월부터 시행되는 '은행대리업' 제도와 연계하여, 우체국 등에서 은행 업무를 대리하는 직원에게 설명을 들으며 대면 채널에서도 예금 금리를 비교하고 상품 추천을 받을 수 있게 될 예정입니다. 어르신 등 디지털 취약계층의 금융 접근성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제 '금리 노마드' 시대는 옛말이 될지도 모르겠습니다. 온라인 예금 중개 플랫폼을 통해 클릭 몇 번만으로 나에게 가장 유리한 예·적금 상품을 찾고, 소중한 내 돈을 조금이라도 더 불릴 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금융 소비자의 정보 접근성이 높아지고 금융기관 간 건전한 금리 경쟁이 촉진되는 긍정적인 효과가 기대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