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고립된 국가에서 ‘게임 체인저’로
이란은 오랜 기간 서방의 제재와 외교적 고립 속에 놓여 있었다. 그러나 최근 몇 년 사이, 이란은 중동 지역에서 독자적 영향력을 강화하며 ‘전략적 축’의 중심으로 부상하고 있다. 외교·안보·군사 전술 모두에서 변화를 꾀하고 있으며, 그 움직임은 중동 전역의 균형을 흔들고 있다.
2. 핵협상 결렬 이후의 반전 전략
2022년 이후 이란은 JCPOA(이란 핵합의) 복원을 둘러싼 서방과의 협상이 사실상 결렬되자, 외교적 양보보다는 핵 프로그램 강화로 노선을 전환했다. 2023년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이란의 우라늄 농축 수준이 무기급(60% 이상)에 도달했다고 발표했고, 이는 서방의 강경 대응과 이란의 독자 노선을 더욱 고착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3. 대리 세력 확장 전략: ‘하나의 이란, 다수의 전선’
이란은 군사적으로 직접 충돌하기보다는 레바논의 헤즈볼라, 예멘의 후티 반군, 이라크 내 시아파 민병대, 시리아 정부군 등을 통해 ‘대리전(proxy warfare)’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이란 혁명수비대(IRGC) 쿠드스군은 이러한 지역 세력에 무기, 자금, 훈련을 제공하며, 미국과 이스라엘을 간접적으로 견제하고 있다. 이 전략은 이란의 영향력을 국경 밖으로 확장하는 데 매우 효과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4. 이란-사우디 관계 정상화: 의도된 긴장 완화
2023년 3월, 이란과 사우디아라비아는 중국의 중재로 외교 관계 정상화에 합의했다. 이는 이란 외교정책의 중요한 전환점이었다. 이란은 과거 수니파 왕정국가들과의 적대적 관계를 일정 부분 봉합하고, 미국의 중동 영향력 약화 국면에서 중국과의 협력 가능성을 넓히는 선택을 택했다. 동시에 이는 후방의 위협을 줄이고, 이스라엘과의 대결 국면에 더 집중할 수 있는 여지를 제공했다.
5. 이스라엘·하마스 전쟁과 이란의 전술적 개입
2023년 10월 하마스의 이스라엘 기습 공격 이후, 이란은 “팔레스타인의 저항권을 지지한다”고 발표하면서도 직접 개입은 부인하는 신중한 행보를 보였다. 그러나 실질적으로는 하마스, 헤즈볼라, 후티 등의 연계 세력을 통해 전선을 다층화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이스라엘의 군사력을 분산시키는 전략을 수행하고 있다. 이는 이란이 전면전은 피하면서도, 지정학적 주도권을 확보하는 방식으로 읽힌다.
6. 미국과의 간접 충돌, 고조되는 지정학 불안
2024년 들어 미국과 이란의 간접 충돌은 더욱 빈번해졌다. 후티의 홍해 선박 공격, 이라크·시리아 미군 기지에 대한 드론 타격 등은 이란 배후설이 지속적으로 제기되는 부분이다. 이에 대해 미국은 군사 응징과 더불어, 2024년 1월 후티를 테러조직으로 재지정하고, 중동 내 자산 동결 및 대응 태세를 강화했다.
이란은 자신이 직접 개입한 바 없다고 주장하지만, 현실적으로는 중동 전체를 무력 긴장의 고리로 만들고 있는 주된 행위자임은 부인하기 어렵다.
7. 지정학의 핵심: 해상 루트와 에너지 안보
이란의 전략 변화는 단지 군사적 국면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호르무즈 해협과 홍해 바브엘만데브 해협 등 글로벌 원유 수송의 핵심 경로를 불안정하게 만들면서, 국제 원유 가격과 해운 보험료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란은 비대칭 전력과 대리 세력을 통해 전 세계 경제 안보에도 강력한 지렛대를 들고 있는 셈이다.
‘고립된 국가’에서 ‘전략적 연결자’로
이란은 이제 더 이상 고립된 변방국이 아니다. 중동의 무력 충돌, 종교 분쟁, 에너지 안보, 글로벌 지정학의 거의 모든 축에서 핵심 연결자로서 움직이고 있다. 과거에는 핵 개발을 둘러싼 단일 이슈로 외교전이 벌어졌다면, 현재는 복수의 전선, 다층적 전략, 다양한 전쟁 도구를 활용하는 복합 안보 행위자로 진화했다.
이란의 전략 변화는 중동의 불안정을 고착화시키는 동시에, 그 어느 때보다 복잡하고 예측 불가능한 국제 정세를 만들고 있다.
'국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유무역에서 보호무역으로 – 미국 관세정책 변화가 미칠 영향 (2) | 2025.04.03 |
---|---|
우크라와 가자에서 드러난 전쟁과 외교의 경계선 (2) | 2025.04.03 |
한국 쌀, 아프리카 대륙을 먹여 살릴까? K-라이스벨트의 성공 비밀 (0) | 2025.03.29 |
통신도 주권이다…저궤도 위성의 숨겨진 의미 (1) | 2025.03.27 |
사우디 리야드에서 열리는 미·러 회담, 주요 의제는? (2) | 2025.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