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 세기 동안 차가운 제주 바다를 누비며 물질을 해온 해녀들. 그들의 놀라운 잠수 능력과 강인함 뒤에는 단순히 오랜 훈련뿐 아니라, 특별한 유전적 비밀이 숨겨져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어 화제입니다.
미국 유타대학교 연구팀은 제주 해녀들이 일반인과 달리 저체온증에 대한 내성을 높이는 등 독특한 유전적 변이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이 연구 결과를 3일 세계적인 과학 저널 ‘셀 리포트’(Cell Reports)에 게재했습니다.
해녀의 비밀, 유전자에 있었다: 연구 배경과 방법
연구팀은 "일 년 내내 공동체를 위해 잠수하는 제주 해녀들의 놀라운 능력에 영감을 받았다"며, "이들이 잠수의 부담을 견디는 데 도움이 되는 생리적 특성이 있는지, 있다면 그것이 유전적 적응의 결과인지 혹은 훈련의 덕분인지 밝히고자 했다"고 연구 배경을 설명했습니다.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습니다:
- 비교 대상: 제주 해녀 30명, 해녀가 아닌 제주 여성 30명, 한반도 내륙 출신 여성 31명 (평균 연령 65세로 조정)
- 분석 방법: 참가자들의 생리적 특성 측정 및 게놈(유전체) 비교 분석
주요 발견: 저체온증 내성 & 혈압 관련 유전자 변이
분석 결과, 제주 여성들은 한반도 내륙 여성들과 뚜렷한 유전자 차이를 보였습니다. 특히, 제주 여성들은 해녀 여부와 관계없이 잠수에 유리한 두 가지 중요한 유전자 변이를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었습니다.
- 추위 내성 변이: 저체온증에 덜 취약하게 만드는 유전자 변이. 이는 차가운 바닷물 속에서 오랫동안 활동해야 하는 해녀에게 필수적인 능력입니다.
- 이완기 혈압 감소 관련 변이: 이 변이는 제주 여성의 33%에서 발견된 반면, 한반도 내륙 여성은 7%만이 보유하고 있었습니다. 연구팀은 이를 "잠수 시 겪을 수 있는 이완기 고혈압 합병증을 완화하기 위한 자연선택이 반영된 것일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훈련의 효과: 심박수 변화에서 드러난 차이
유전적 차이 외에 훈련의 효과도 확인되었습니다. 차가운 물에 얼굴을 담그고 숨을 참는 '모의 잠수' 실험 결과, 모든 참가자의 심박수가 감소했지만, 해녀들의 심박수 감소 폭이 훨씬 컸습니다.
- 해녀: 분당 평균 18.8회 감소
- 비(非)해녀: 분당 평균 12.6회 감소
연구팀은 이러한 심박수 변화의 차이는 해녀들의 오랜 훈련으로 인해 나타나는 생리적 적응일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습니다.
미래 의학에 대한 영감: 연구의 확장 가능성
이번 연구를 이끈 멀리사 일라르도 교수는 "전통적인 잠수 집단을 통해 확인된 유전적 변화가 제주 전체 주민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후속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그 영향을 더 깊이 규명한다면 임신성 고혈압이나 뇌졸중 같은 여러 질환의 치료제 개발에도 영감을 줄 수 있을 것입니다." - 멀리사 일라르도 교수, 유타대학교
제주 해녀의 몸속에 숨겨진 유전적 비밀은 단순히 그들의 놀라운 능력을 설명하는 것을 넘어, 인간의 환경 적응과 진화, 나아가 미래 의학 발전에도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행자보험 '이것' 모르고 가입하면 낭패! (금감원 필수 체크리스트 : 중복보상? 구급차?) (38) | 2025.05.06 |
---|---|
🤖 AI 혁명: 미래 경제 지도를 바꾸고 일자리를 재정의하다 (41) | 2025.05.02 |
OpenAI GPT, 어떻게 세상을 바꿨나? 기술과 영향력 분석 (114) | 2025.05.01 |
🚀 비대면 진료 시대, 당신의 삶을 어떻게 바꿀까? 장점부터 해결 과제까지 총정리! (65) | 2025.04.27 |
생명 그 자체, 필수의료: 위기의 현주소와 나아갈 길 (43) | 2025.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