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cookie_domain: 'rachelchun.tistory.com', cookie_flags: 'max-age=0;domain=.tistory.com', cookie_expires: 7 * 24 * 60 * 60 // 7 days, in seconds }); 의대 정원 3058명 유지, 의대생 반발 여전… 다음 행보는?
 
HH

의대 정원 3058명 유지, 의대생 반발 여전… 다음 행보는?

정부, 2026년 의대 모집인원 3058명 동결 결정… 의대생 복귀는?

최근 정부가 2026학년도 의과대학 모집인원을 기존 3058명으로 동결하기로 결정하면서, 장기화되고 있는 의대생 파업 사태에 새로운 변수가 등장했다. 교육부는 3월 말까지 학생들의 복귀를 전제로 모집인원을 유지하겠다고 밝혔지만, 여전히 일부 의대생들은 강경한 입장을 유지하고 있어 사태가 쉽게 해결될지는 미지수다.

 

🔹 정부의 주요 발표 내용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3월 7일 발표에서 “3월 말까지 학생들의 전원 복귀를 전제로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3058명으로 동결한다”고 공식적으로 발표했다. 이는 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의총협)의 요청을 반영한 조치로, 일단은 기존 모집인원을 유지하겠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이 방침에는 중요한 조건이 있다. 바로 3월 말까지 의대생이 전원 복귀해야 한다는 것이다. 만약 학생들이 복귀하지 않는다면, 정부는 다시 정원 확대 논의를 진행할 가능성이 크다.

 

🔹 의대 교육 방식, 어떻게 바뀔까?

현재 의대생들의 대규모 휴학으로 인해 2024학년도와 2025학년도 신입생이 대거 겹치게 된다. 이에 따라 정부는 다양한 교육 방식을 제안했다.

  1. 24·25학번을 동시에 교육하고 동시에 졸업시키는 방안
  2. 24학번 1~2학년 과정을 재설계해 25학번보다 1학기 빨리 졸업시키는 방안
  3. 24학번이 1학기만 이수한 경우 2025년 1학기부터 바로 복학하도록 하는 방안
  4. 24학번의 4~6학년 과정을 재설계하는 방안

각 의과대학은 내부 사정을 고려해 위의 방식 중 적절한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이는 학생들이 학업을 이어갈 수 있도록 보장하면서도, 기존 교육체계를 무너뜨리지 않는 대책으로 해석된다.

 

🔹 3월 말 복귀가 중요한 이유

양오봉 전북대 총장(의총협 공동회장)은 “3월 28일이 수업의 4분의 1 선”이라며 그때까지 복귀해야만 학점을 인정받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즉, 3월 말까지 복귀하지 않으면 해당 학기를 인정받을 수 없고, 자동으로 유급되거나 추가적인 학사 조정이 필요해질 수 있다는 뜻이다.

또한, 정부는 “3월 말까지 복귀하지 않으면 2026학년도 모집인원 3058명 동결 결정을 철회할 수 있다”고 밝혀, 의대생들에게 강한 복귀 압박을 가하고 있다. 만약 학생들이 계속 반발할 경우, 정부가 다시 의대 정원 확대를 추진할 가능성도 있다.

 

🔹 의대생들의 반응과 전망

현재 일부 강경파 의대생들은 정부의 방침에 반발하며 여전히 복귀 의사를 보이지 않고 있다. 하지만 학업을 중단할 경우 개인적인 피해가 커질 수 있기 때문에, 일부 학생들은 복귀를 고민하는 상황이다.

또한, 의대 교수진과 병원들은 진료 공백과 학사 일정 조정 문제로 큰 부담을 안고 있다. 만약 3월 말까지 복귀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의대 교육 시스템 자체가 큰 혼란에 빠질 가능성이 크다.

 

🔹 향후 전망

정부가 의대 정원을 동결하기로 했지만, 실제 학생들의 복귀 여부에 따라 정책이 바뀔 가능성이 크다.

  1. 의대생들이 3월 말까지 복귀하면 → 2026년 모집인원 3058명 유지
  2. 복귀하지 않는다면 → 정부가 다시 정원 확대 논의를 진행할 가능성 있음

따라서 이번 사태는 3월 말이 중요한 변곡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의대생들은 학사 일정과 향후 진로를 고려해야 하며, 정부와 대학 측도 현실적인 해결책을 마련해야 할 시점이다.